티스토리 뷰

https://docs.flutter.dev/get-started/install/macos

 

macOS install

How to install on macOS.

docs.flutter.dev

순서대로 진행하면 된다.

적당한 경로에 설치해주면 되는데, 나는 그냥 /Users/(내 사용자 이름)에 설치했음.

 

그리고 환경변수 세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내용이 블로그들에서 꽤 보이는 것 같아 간단하게 방법을 적어봄..

(아마 리눅스 에디터에 익숙치 않다보니 어려움을 겪는듯.. 나도 리눅스 에디터랑 친하지는 않다.)

 

 

3번 내용을 보면

export PATH="$PATH:`pwd`/flutter/bin"

요거는 그냥 지금 터미널에서 1회용으로만 flutter 명령어로 동작이 가능한거고, 영구적으로 쓰려면 경로를 업데이트하라고 적혀있다.

즉 그냥 터미널 새로 켜서도 flutter 어쩌구를 했을 때 뭔가 되게 하기 위해서 환경변수 설정을 하는 것..

 

 

이것도 순서대로 하라는 대로 하면 된다.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을 누군가를 위해 간단히 방법을 적어본다..

 


1. 자기가 쓰고 있는 shell 확인

echo $SHELL

터미널을 키고 위 명령어를 통해 내가 쓰는 shell을 확인해본다.

나는 Z shell을 쓰고 있다.

 

2. shell 종류에 따라 환경변수를 추가할 파일이 다르다.

If you’re using Bash, edit $HOME/.bash_profile or $HOME/.bashrc. If you’re using Z shell, edit $HOME/.zshrc. If you’re using a different shell, the file path and filename will be different on your machine.

요렇게 적혀있다. 대부분의 경우 Bash나 Z shell을 이용한다.

터미널을 키고 ls -a나 ls -al을 해보면, 해당 파일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다. 있으면 수정하면 되고, 없으면 새로 만들면 된다.

 

2-1. 파일이 없는 경우

없으면 파일을 새로 만들어서 환경변수 지정을 해주면 된다. 터미널에서 touch 명령어로  파일을 만들어주자. (사용자 루트 경로에 만들어주면 된다.)

touch .bash_profile
touch .bashrc

touch .zshrc

Bash를 쓰면 위에 둘 중 하나를 만들면 되고, Z shell을 쓰면 .zshrc파일을 만들어주자.

만들면 그냥 빈 파일이 만들어지는데, 빈 파일에 

export PATH="$PATH:[맥에 설치한 플러터 폴더의 경로]/bin"

이 한 줄을 쓰면 된다. 나의 경우 경로는 그냥 사용자 루트에 바로 둬서 /Users/woochanglee/flutter가 된다.

vi나 vim, nano에 익숙하지 않으면 그냥 맥 텍스트 편집기로 작성해도 무방하다. 다만 숨김 파일이니 Command + Shift + . 을 눌러 파일을 찾아 텍스트 편집기로 열자.

 

위에 적힌 한 줄을 추가하고 저장하면 끝.

 

2-2. 파일이 있는 경우

파일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파일을 열어서 내용 한 줄을 추가하면 되는데, 간혹 수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.

해당 파일에 쓰기 권한이 없는 경우인데, chmod를 이용해서 권한을 부여한 후 수정을 해도 되고, sudo를 이용해서 편집기를 실행해 수정해도 된다. 이 내용은 쓰려면 양이 너무 많기도 하고, 다른 곳의 설명을 보면 충분히 가능한 내용이기 때문에 생략한다..ㅎㅎ

 

다 되었으면 새 터미널을 열어 which flutter를 쳐보자. 

이런 식으로 나오면 환경변수 설정이 완료된 것이다. flutter not found와 같은 내용이 나온다면 뭔가 잘못한 것.

이제 터미널에서 flutter로 시작하는 명령어를 언제든 쓸 수 있다.

Total
Today
Yesterday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